반응형
반응형
알고리즘 : DFS, Flood Fill 풀이 단순한 탐색 알고리즘 문제지만 다른 문제들과 다른점은 4방향이 아닌 8방향을 탐색해야 한다는 것이다. 방향배열을 8*2로 잡아주고 탐색을 해주면 된다. 문제를 풀기에 앞서 이해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. 특정 칸의 숫자는 그 칸 주위의 8개의 칸 중에 지뢰의 개수를 나타낸다. 클릭한 칸에서 시작하여 (1)의 숫자가 0이 아닐때 까지 탐색한다. (이때 탐색도 8방향이다) 탐 탐색한 칸은 (1)의 숫자, 탐색하지 않은 칸은 _로 출력한다. 내가 선택한 칸이 지뢰일 경우 그 칸을 -1 나머지는 _를 출력한다. in배열은 입력 데이터 이고 map배열은 지뢰의 갯수를 세어 놓는 배열이다. ( 탐색이 끝나는 지점이 될 것이다. ) 처음에 in 배열을 모두 돌아 map 배열..
알고리즘 그리디, 백트래킹 힌트 매 시행마다 목표 채널과 현재 채널중 큰 것을 골라 빼거나 작은 것을 골라 더한다. 풀이 a와 b의 대소 관계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임의로 a>b로 잡아 주었다. 변경할 수 있는 수가 1, -1, 5, -5, 10, -10 인 것에 주목하자. (절대값이 같은 두 수가 3쌍이다.) a에 10을 뺀 것은 b에 10을 더한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. ( 현재 온도를 x도 높인 것은 목표 온도를 x도 낮춘것 과 같고, 현재 온도를 x도 낮춘 것은 목표 온도를 x도 높인 것 과 같다. ) 따라서 두 수 중 큰 수만 값을 줄여주면 되기 때문에 임의로 a와 b의 대소관계를 정해주는 것은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. 시행 횟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. d 배열에 양수 값만 필요하고 a,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